논문제목 작성시 유의사항
제목은 논문의 얼굴이요 Lebel입니다.
독자가 논문 제목을 한 번 보고는, 이 제목을 보고나니 그 논문의 초록을 좀 읽어 보고 싶다는 마음이 든다면, 그 제목은 제 목적을 다한 것입니다. 더욱이 제목이 논문 내용에 대한 궁금증과 호기심을 유발시키고, 마침내 독자로 하여금 제목 속에 들어 있는 keyword를 활용하여 Chemical Abstracts로부터 그 초록까지 불러내어 읽게 했다면, 그 제목은 제 기능을 00% 다 한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제목은 너무 짧아도 안 되고 너무 길어도 안 됩니다. 두 세 개의 단어로 된 짧은 제목은 너무 추상적이고 애매모호하기 쉽습니다. 반면 14개 단어 이상을 늘어 놓은 긴 제목은 너무 길어서 제목이 있어야 할 자리에 왠 초록을 썼느냐는 불평을 받기 십상입니다. 긴 제목 중에서 단어의 총 수가 20이 넘는 경우가 적지 않고, 심지어는 A4 용지에 font size 10, single column으로 무려 세 줄(three lines)을 차지하는 경우도 흔하게 봅니다. 제목에 무엇을 포함하느냐도 중요하지만 무엇을 빼느냐도 그에 못지않게 중요합니다.
제목은 전자 문서 검색을 위한 keyword 한 두 개를 포함하여 12개 단어 이내로 하되, 논문이 강조하는 주요 내용을 정확하고 간결하고 명료하게 반영하는 것이 이상적이라 하겠습니다.
긴 제목을 더 이상 짧게 줄일 수 없는 경우에는 主題와 副題로 나누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 "Mechanism of the Methylchlorosilane Reaction: Improved Lab Reactor Design and Kinetic Data".
과학도들이 많이 이용한다고 알려진 Robert A. Day의 저서 [How to Write & Publish a Scientific Paper(5th Edition)]와 화학도들의 필독서인 [ACS Style Guide]는 다음과 같은 귀절들을 과학논문 제목에 사용하지 말라고 권고합니다.
금지된 귀절 : "on the", "A study of", "research on", "report on", "regarding", "use of", "rapid", "new", "Investigations on", "Observations on", "Studies on", 즉 "연구" "조사" "보고" 등을 제목에 넣은 것은 연구내용을 알리는데 도움이 안되니 journal 공간의 낭비라는 것입니다.
Newspaper headline의 첫 단어 앞에는 A, An, The 등 의 부정관사나 정관사를 생략하듯이 과학논문 제목의 첫 단어 앞에 오는 부정관사나 정관사도 생략합니다.
대다수의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제목은 “For Whom the Bell Tolls”와 같이 주어 동사 목적어를 갖춘 완전 문장형 제목을 쓰지 않으며 phrase 형태의 제목으로 바꿔 씁니다.
☞ “How Residential Passive Solar Heating Could Affect Seven Electric Utilities” →“Potential Effects of Residential Passive Solar Heating on Seven Electric Utilities”
끝으로 제목은 논문의 첫 머리에 위치하고 있지만 실제로 제목을 쓰는 時點은 논문을 다 완성한 다음이라야 합니다. 그래야 논문이 강조하는 주요 내용을 정확하고 간결 하고 명료하게 반영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과학논문 문체의 구성요소는 ABC로 간단히 요약될 수 있습니다. 즉,Accuracy (정확성),Brevity (간결성),Clarity (명확성) 입니다 (Anne Eisenberg,Effective Technical Communication). 이 원칙은 과학논문 문체뿐만 아니라 제목에도 예외 없이 적용됩니다.
[출처][화학세계][영문 제대로 쓰기][유대식 교수][page 90~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