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어가 단수 명사이면 동사 끝에 's'나 'es'를 붙인다는 기본을 너무나 잘 아는 미국의 과학자들이 쓴 과학논문에서 조차도, 주어와 동사의 수가 일치하지 않는 문장을 쓰는 오류가 빈번합니다. 그래서 ACS Style Guide는 "Grammar"의 첫 머리에 이 오류가 자주 발생하는 원인 일곱 가지를 예를 들며 설명하겠습니다.
첫째, 주어와 동사 사이에 전치사구가 하나 도는 둘이상 끼어 들 때 이 오류가 흔히 발생한다.
☞ Application of this technique to studies on the phytoplankton biomass and its environments are (is) described.
※ underline = 誤 / italic = 正
둘째, 두 개의 단수 명사를 'and'로 묶어서 주어로 쓸 때에는 복수동사를 써야 되는데 단수동사를 쓰는 오류가 빈번하다.
☞ Growth and isolation of M13 virus was (were) described.
셋째, 주어가 복수 형태의 명사이면서도 의미상으로는 단수로 쓰일 경우 (R&D, name and address)에는 단수 동사를 써야 되는데 복수 동사를 쓴다.
☞ The name and address of each contrubutor are (is) given on the title pae.
넷째, 'or'으로 두 개 이상의 명사를 연결하여 주어로 쓰면 동사는 동사에 가장 가가이 있는 명사의 수를 따라야 된다는 문법을 깜빡한다.
☞ Application or uses were noted.
☞ Uses or application was noted.
다섯때, 집합명사(collective noun)는 그룹 전체를 하나로 취급하면 단수 동사를 취하고, 그룹 구성원(다수의 개체들)의 의미로 쓰이면 복수 동사를 취한다는 문법을 깜빡한다.
☞ The series are (is) arranged in order of descreasing size.
여섯째, 측정 단위(units of measurement)는 집합명사로 고려하기 때문에 측정 단위가 주어로 오면 단수 동사를 취한다.
☞ The mixture was stirred, and 5 ml. of diluent were(was) added.
일곱째, 'each', 'every', 'everybody' 등의 단어가 들어있는 복합주어 (Each flask and each holder)는 단수 동사를 취한다.
☞ Each flask and each holder were (was) sterilized before use.
(이상 7개의 예문은 [ACS Style Guide]에서 인용)
영어가 모국어인 미국 과학자들이 이런 여러가지 복잡한 원인으로 주어 동사의 수가 일치하지 않는 문장을 쓰고 있는데, 하물며 영어가 외국어인 과학자들이 틀리는 것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이는 동양인이 슨 과학논문의 영어에서 가장 많이 발견되는 오류 중의 하나이다.
우리는 미국인들이 틀리는 일곱 가지 원인 하나하나에 예외 없이 다 걸려들기 일쑤다. 거기에 우리는 미국인들이 모르는 도 하나의 큰 원인을 가지고 있다. 우리는 주어 동사간에 수의 일치를 요구하지 않는 언어를 쓰며 성장했다는 사실이다. 해결책은 간단하다. 새로운 언어습관을 형성하는 것이다. 문장의 주어로 사용할 명사를 선택할 때마다 아래 절차를 거치면 된다.
1. 선택한 명사가 countable 인지 uncountable인지를 먼저 구별한다.
2. 그것이 countable noun이면 단수인지 복수인지를 구별한다.
3. Countable noun 이 단수이면 정관사나 부정관사를 앞에다 붙인다.
4. 3의 경우 동사 끝에 's'나 'es'를 붙인다.
5. 선택한 명사가 복수이면 복수 동사형을 사용하여 문장을 만든다.
이렇게 간단한 해결책이 있는데 왜 틀리는가? 토박이들은 필요를 느끼는 찰나에 순간적으로 해결하는 것을 우리는 의식적으로 시간을 소모하며 풀어야만 한다. 우리는 이것을 게을리하고 우리글 쓰듯이 영어를 쓰기 때문이다. 기성 세대는 중1에서 배웠고 요즘은 유치원에서 배우는 문법인데도, 알고는 있지만 활용을 안해서 생기는 문제다. 그러나 의식적으로 노력만 한다면, 우리도 국제학술지 논문 심사위원들이 만족하는 수준에 도달할 수 있으리라 본다.
[출처][화학세계][과학논문과 영어][유대식 교수][page.90~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