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역사지원 > 번역사등록
 
Empirical Research Reports의 Introduction
관리자
작성일 : 15-07-24 20:50  조회 : 9,552회 

 Empirical Research Report의 Introduction 작성시 유의사항

 

학술지에 투고하는 full size paper 는 철저한 경험주의에 입각한 분석과 실험방법으로 연구 결과를 입증하는 속성 때문에 Empirical Research Report라고 부른다. Empirical Research Report의 Introduction에는 반드시 다음 사항을 언급해야 한다.

 

    ● 주제 : 연구의 목적

    ● 선행연구문헌 Review

    ● 연구방법

    ● 연구결과

    ● 결론의 요약

 

선행연구문헌 Review는 다음 section에서 별도로 다루기로 한다.

 

Introduction을 작성할 때 중요한 것은 연구한 문제를 명확하게 소개하는 일이다. 해결하려는 문제가 무엇인지 알기 쉽게 설명하지 못하면 아무리 좋은 해결안을 내 놓아도 읽는 사람이 관심을 잃게 된다.

 

선행연구문헌 Review는 내가 다루려는 문제를 다른 사람들이 어떻게 연구 했고 어떤 결과를 얻었는지 출판된 연구 논문들을 통해 살펴 보면서 읽는 사람에게 논문에서 다룰 문제의 배경 설명을 한다. 이 때 선행연구문헌 Review의 초점은 문제 설명에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 전공분야 전체를 소개하려 하거나, 저자가 알고 있는 모든 것을 과시하려는 오류를 피해야 한다.

 

반복을 피한다는 이유로 연구의 주요결과와 결론의 요약을 Introduction에서 빠뜨리는 경우가 종종 있다. Abstract과 Introduction에 주요 결과와 결론의 요약을 쓰는 것은 결론의 중요성을 돋보이기 위한 일종의 built-n-redundancy이다.

연구의 주요결과와 결론의 요약을 마치 탐정소설 작중 인물의 비밀처럼 숨겨 두었다가 논문의 끝에 가서 극적인 climax 효과를 보려는 것은 금물이다. 연구논문을 읽는 사람은suspense나 suprise ending을 감지하는 순간 읽기를 중단한다.

 

19세기가 이룩한 여러 가지 발명 중에서 가장 위대한 발명은 발명하는 방법을 발명해 낸 일이라고 Whitehead는 말했다. 연구논문의 format과 style은 새로운 발견이나 발명을 했을 때, 그 방법과 절차와 결과를 세상에 알리는 매체이다. 일찌감치 서론에다 선택한 연구방법으로 얻은 결과를 먼저 공표해 놓고, 방법과 절차와 결과의 타당성과 재현가능성을 하나씩 입증해 나아가는 실증주의 논법이다. 이것이 연구에 관련된 수 많은 정보와 자료를 구슬을 꿰 듯 보배로운 논문으로 엮는 Organizing principle이다.

 

 

[출처][화학세계 0403][90][영문 제대로 쓰기]

Abstract 작성시 유의사항 - 유대식 [전 포항공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