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역사지원 > 번역사등록
 
[과학 논문] 능동태와 수동태
관리자
작성일 : 15-07-25 09:55  조회 : 11,320회 

Empirical Research Report의 Introduction 작성 시 유의사항

 

능동태와 수동태

 

수동태는 반드시 他動詞로 만든다. 自動詞로 수동태를 만들면 절대로 안된다.

그런데 이 기본 문법을 어기는 오류가 과학자들이 영어로 쓴 연구논문에 자주 나타난다.

 

appear

become

consist

disappear

happen

occur

등의 동사는 목적어를 가질 수 없는 만년 자동사이기 때문에 절대로 수동태를 만들면 안 된다. 학술지에 투고한 논문에 자동사로 수동태를 만든 있으면 연구내용이 우수해도 tentatively accepted 이상의 평가를 받기 힘들 것이다.

 

과거 수동태 전성기에는 객관성을 강조하기 위하여 연구논문의 모든 문장에 되도록 많이 수동태를 쓰라고 권장했다. Information 자체가 중요하지 않다. 따라서 연구논문에 인칭대명사 특히 1인칭 대명사는 설 자리가 없었다. Henry Adams는 1인칭 단수 대명사 "I"를 vertical pronoun이라 부르며 혐오감을 표시하기도 했다. "Oil was pumped into the tank."를 비교할 때 1인칭 대명사가 있어야 할 이유가 없는 것도 사실이다. 이 전통의 영향은 지금도 크게 남아 있어서 모 국제학술지 심사위원으로부터 능동태 문장을 모두 수동태로 고치라는 통고를 받은 어느 물리학 교수를 어리둥절하게 만든 정도다.

 

이런 전통에 반기를 들고 나온 능동태 찬미자의 주장도 만만치 않다. Robert A.Day는 십계명 다음으로 Eleventh Commandment를 만든다면 "The passive voice should never be used"라고 써야 된다고 목청을 높인다.

 

"It was found that"보다 "I found"가 단어수가 적으면서 의미는 더 명확하다. "S.aureus produced lactate"는 단어 셋으로 단어를 다섯이나 가진 수동태 문장 "lactate was produced by S.aureus"와 같은 내용을 더 간명하게 표현한다고 설득력이 있는 주장을 한다. 같은 맥락에서 능동태 Table 3 shows.... 가 수동태 ....are shown in table 3 보다  읽기가 쉽다.

   (1)Active Voice : Table 3 shows Rgs, the polysiloxane chain lengths and the sizes of the resins.

   (2)Passive Voice : Rgs, the polysiloxane chain lengths and the sizes of the resins are shown in

       Table 3.

 

이 주장에서 분명히 배울 것이 있지만 Robert Day의 Eleventh Commandment를 문자 그대로 따르면 잃는 것도 많다.

되도록 능동태를 사용할 것을 권장하면서도 한편으로는 수동태의 장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는  Thomas Pearsall의 충고에 귀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Influenza may be caused by any of several viruses."는 influenza를 강조하는 반면, "Any of several viruses may cause influenza."는 viruses를 강조한다. 그러니까 무엇을 강조하고 싶으냐에 따라서 수동태를 선택하던가 능동태를 선택해야 된다. 무조건 능동태를 써야 된다거나 무조건 수동태만을 고집할 일이 아니다.

 

조심해야 될 것은 수동태 문장을 분사구문과 결합할 때 분사구문이 갖는 의미상의 주어와 수동태 문장의 주어가 일치하지 않으면 애매하고 이상한 뜻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Conducting these experiments, the chickens were seen to panic every time a hawk flew over." 닭들이 실험을 했다고 할 수는 없지 않은가. 이런 경우에는 능동태로 바꿔서 "While conducting these experiments, we saw that the chickens panicked every tome a hawk flew over."라고 쓰면 오해의 소지를 제거할 수 있다.

 

 

[출처][화학세계 0403][90][영문 제대로 쓰기]

Abstract 작성시 유의사항 - 유대식 [전 포항공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