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CHECK-LIST
Introduction의 다섯 가지 구성요소
학술지에 투고하는 full size paper는 철저한 경험주의에 입각한 분석과 실험 방법으로 연구 결과를 입증하는 속성 때문에 Empirical Research Report라고 부른다. Empirical Research Report의 Introduction에는 반드시 다음 사항을 언급해야 된다.
1. 연구의 목적
2. 선행 연구 문헌 Review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의 요약
Introduction을 작성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연구한 문제를 명확하게 소개하는 일이다. 해결하려는 문제가 무엇인지 알기 쉽게 설명하지 못하면 아무리 좋은 해결안을 내 놓아도 읽는 사람이 관심을 잃게 된다.
선행 연구 문헌 Review는 내가 다루려는 문제를 다른 사람들이 어덯게 연구해왔고 어떤 결과를 얻었는지 출판된 연구논문들을 통해 살펴 보면서 논문에서 다룰 문제의 배경 설명을 한다.
연구의 주요결과와 결론의 요약을 마치 탐정소설의 비밀처럼 숨겨 두었다가 논문의 끝에 가서 극적인 climax 효과를 보려는 것은 금물이다. 일찌감치 서론에서 선택한 연구방법으로 얻은 결과를 먼저 공표해 놓고, 방법과 절차와 결과의 타당성과 재현가능성을 하나씩 입증해 나아가는 실증주의 논법을 쓰는 것이 원칙이다.
Experimental Section은 실험의 재현 가능성이 돋보이게
실험보고를 중점적으로 하는 연구논문에서는 이 Section을 "Experimental Details" 또는 "Experimental Method" 혹은 "Experimental Section"또 어떤 학술지에서는 "Materials and Methods"등 다양한 이름으로 부른다. 따라서 투고하려는 학술지의 편집방침을 살펴 볼 필요가 있다.
Experimental Section의 목적은 다른 과학자가 동일한 실험을 반복해서 재현할 수 있도록 실험방법과 절차를 설명하고 기자재에 관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 있다. 학술지의 논문 심사위원이 가장 신경을 써서 심사하는 부분이 이 Section이라고 한다. 실험의 재현 가능성이 의심스러우면 reject할 것을 추천한다고 알려져 있다.
[출처][화학세계 0406][110][영문 제대로 쓰기]
과학논문 Checklist - 유대식 [전 포항공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