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역사지원 > 번역사등록
 
금강경(金剛經)
관리자
작성일 : 15-10-23 14:15  조회 : 9,690회 

1.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한 때에 부처님께서는 사위국의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는데, 큰 비구들 천이백오십인과 더불어 계시었다. 이 때에, 세존께서는 밥 때가 되는 옷을 입으시고 바리를 지니시고 사위 큰 성으로 들어가시어 밥빌으셨다. 그 성 안에서 차례로 빌으심을 마치시고, 본래의 곳으로 돌아오시어, 밥 자심을 마치시었다. 옷과 바리를 거두시고, 발을 씻으심을 마치시고, 자리를 펴서 앉으시거늘.

 

2.

이때, 장로 수보리가 대중가운데 있다가, 곧 자리에서 일어나, 웃 옷을 한편으로 걸쳐 오른쪽 어깨를 드러내고, 오른쪽 무릎을 땅에 대고, 손을 모아 공경하며, 부처님께 사뢰어 말하였다: "희유하신 세존이시여! 여래께서는 뭇 보살들을 잘 호념하시며, 뭇 보살들을 잘 부촉하여 주십니다. 세존이시여! 선남자 선여인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마음을 냈으면, 마땅히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이며, 어떻게 그 마음을 항복 받아야 하오리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시었다: "좋다! 좋다! 수보리야! 네가 말한 바대로, 여래는 뭇 보살들을 잘 호념하며, 뭇 보살들을 잘 부촉해준다. 너 이제 자세히 들어라! 반드시 너를 위하여 이르리라. 선남자 선여인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마음을 냈으며, 마땅히 이와 같이 살 것이며, 이와 같이 그 마음을 항복받아야 하리라." "그러하옵니다. 세존이시여! 즐겁게 듣고자 원하오니이다."

 

3.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이르시되: "뭇 보살 마하살들이 반드시 이와 같이 그 마음을 항복받을지어다: '존재하는 일체의 중생의 종류인, 알에서 태어난 것, 모태에서 태어난 것, 물에서 태어난 것, 갑자기 태어난 것, 형태가 있는 것, 형태가 없는 것, 지각이 있는 것, 지각이 없는 것, 지각이 있는 것도 아니고 지각이 없는 것도 아닌 것, 이것들을 내가 다 남김없이 온전한 열반으로 들게하여 멸도하리라. 이와 같이 헤아릴 수 없고, 셀 수 없고, 가 없는 중생들을 내 멸도한다 하였으나, 실로 멸도를 얻은 중생은 아무도 없었어라.' 어째서 그러한가? 수보리야! 만약 보살이 아상이나 인상이나 중생상이나 수자상이 있으면 곧 보살이 아니기 때문이다.

 

4.

이제 다음으로 수보리야! 보살은 법에 머무는 바 없이 보시를 행하여야 한다. 이른바 색에 머물지 않고 보시하고, 성.향.미.촉.법에 머물지 않고 보시한다는 것이다. 수보리야! 보살은 반드시 이와 같이 보시할 것이며, 상에 머물러서는 아니되는 것이다. 어째서 그러한가? 만약 보살이 상에 머물지 않고 보시한다면, 그 복덕은 생각으로 헤아릴 수 없으리라. 수보리야! 네 뜻에 어떠하뇨? 동쪽의 허공을 생각으로 헤아릴 수 있겠느냐? 없겠느냐?" "없습니다. 세존이시여!" "수보리야! 남.서.북방과 사유.상.하의 허공을 생각으로 헤아릴 수 있겠느냐? 없겠느냐?" "없습니다. 세존이시여!" "수보리야! 보살이 상에 머물지 않고 보시하는 것의 복덕도, 또한 이와 같이 생각으로 헤아릴 수 없느니라. 수보리야! 보살은 오직 가르친 바 대로 머물지니라."

 

5.

"수보리야! 네 뜻에 어떠하뇨? 몸의 형상으로 여래를 볼 수 있겠느냐? 없겠느냐?"  "없습니다. 세존이시여! 몸의 형상으로는 여래를 볼 수 없습니다. 어째서 그러하오니이까? 여래께서 이르신 몸의 형상이 곧 몸의 형상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이르시되: "무릇 있는 바의 형상이 모두 허망한 것이니, 만약 모든 형상이 형상이 아님을 보면 곧 여래를 보리라."